백화점들의 브랜드 유치 확대에 기회 조성 전망

 
 
최근 중국의 백화점들이 큰 매출 하락으로 위기를 맞으면서 국내 기업들에게는 오히려 중국 진출에 대한 기회가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KOTRA 정저우 무역관이 현지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중국 백화점들의 매출이 크게 위축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연상망(联商网)의 38개 백화점, 쇼핑몰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2015년 매출액이 하락한 업체가 62%에 달하며 순수익이 하락한 업체는 73%에 달할 정도다. 2015년 100여개의 중국 백화점이 문을 닫았을 정도.

실제로 광저우 대표 백화점의 하나인 광저우우의(广州友谊) 백화점은 2015년 매출액이 28억4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6.6% 감소했고 우한중상(武汉中商) 백화점도 2015년 순이익 –4999만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83.81% 하락해 중국 백화점 중에서 순이익이 가장 많이 감소됐다.

이에 따라 전통 오프라인 매장, 특히 고급 패션 판매 위주이던 백화점도 최근 요식업, 영유아 놀이공간, 체험식 공간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중국 백화점의 위기는 온라인 시장의 빠른 확장과 백화점 자체의 경영관리 모델의 조정으로 매장 인테리어 공정비 등 기타 부가비용이 증가되면서 입점업체의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이유로는 중국 전체 경제 상황이 침체된 것과 상업지역의 맹목적인 확장, 소비자의 다원화 전변, 신형업태의 빠른 발전 등이 꼽힌다.

이에 따라 중국 백화점들은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모델 다양화와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연합경영 위주의 새로운 경영 모델 구축과 브랜드와 협력 관계 구축은 물론 최근 중국에서 대두되고 있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더한 O2O 시스템 도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거의 절반 이상의 백화점이 전자상 플랫폼을 구축했고 94.5%의 백화점 내에 무료 와이파이가 설치돼 있으며 QR코드 응용을 하고 있는 곳이 80% 이상일 정도다.

또한 42%의 백화점이 자체의 핸드폰 앱를 갖고 있으며 이 앱을 통해 판촉행사 정보, 상품 정보와 식당 예약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2015년 은태상업(银泰商业)은 알리바바(阿里巴巴)와의 협력을 통해 은태백화점은 전년대비 6% 증가한 167억60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왕부정백화점과 광저우백화점, 은태백화점, 탠훙백화점 등 모두 기존의 백화점 업태 외에 쇼핑몰 업태로의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 백화상업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백화점 중 70% 이상의 백화점이 백화점 이외의 유통업태에 진출하고 있으며 75%의 백화점기업이 슈퍼, 마트를 함께 운영 중이다.

뿐만 아니라 57.5%의 백화점기업이 쇼핑몰을 운영하고 25%의 편의점 업태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으며 아웃렛 매장, 전문매장 등도 늘고 있다.

이와 관련 KOTRA 정저우 무역관은 “최근 중국의 전통 백화점들의 경영모델 조정으로 인해 브랜드 유치 등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중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진입하기 더 용이해 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중국 '두아이(二胎)' 정책의 전면 실시로 영유아 제품, 영유아 놀이기구, 교육기구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해당 분야의 유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