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증권 보고서, "홍콩 수출 비중 이미 낮을 대로 낮아"

 
 

이른바 '중국 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의 대규모 시위가 주말마다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위대들이 중국 보따리상 무역에 반대하고 나섰다는 소식이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지난 13일 시위대들은 중국 본토 선전의 접경지역에 집결해 '국경을 넘나드는 상인들을 막아라'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앞세우고 중국 본토와 거래하는 무역상들을 반대하는 행진을 펼쳤다.

일부는 중국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약국과 화장품 매장을 향해 상자를 던지며 영업을 방해하고 셔터 문에 '중국 송환법 반대'라는 문구의 스프레이 칠을 하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이들은 중국인들이 면세로 홍콩 물건을 불법적으로 사들여 본토에서 판매하는 보따리 상인들을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당국에 중국 선전 주민에게 발급되는 한 달 기간의 홍콩 비자 폐지가 포함된 6가지 조건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은 그 자체로 우리나라 화장품업계의 주요 수출 대상국이며 중국 진출 및 개척의 거점 역할을 하는 곳이다. 홍콩 시위대들이 이 문제를 짚고 나오면서 국내 화장품업계의 대(對) 홍콩, 대중국 수출에도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유안타증권 박은정 연구원은 15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해당 시위로 보따리상 무역이 급감할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유통에는 다양한 루트가 있고 중국 본토의 수요가 있는 한 보따리상은 지속될 채널이란 것이다. 또 2018년 기준 홍콩에 방문한 중국인 수가 5,104만 명에 달하고 홍콩 내 시장에 핵심 소비자로 추정되는 만큼, 비자 폐지라는 급진적인 정책이 수립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화장품에 대한 영향 역시 미미할 것으로 예측했다. 홍콩으로 수출되는 한국 화장품 기여도가 이미 낮아질 대로 낮아졌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우리나라 화장품의 대홍콩 수출 비중은 2016년 32%에 달했으나 2018년 21%로 낮아졌고 2019년 상반기에는 16%까지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더이상 벤더가 아닌 직접적인 방식으로 중국에 진출하고 있다는 점도 이유로 꼽혔다. 상장기업의 경우 대다수가 티몰이나 타오바오, 역직구 온라인 사이트 등을 통해 중국과 홍콩에 직접 진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나아가 박 연구원은 "한국산 화장품의 현지 면세점 매출도 함께 하락한 상황에서 따이공을 통해 홍콩으로 유입되고 이후 중국 본토로 흘러가는 물량은 미미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