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혁신안 발표···전략·신흥·주력시장 공략에 '화장품' 두루 활용

 
 

[뷰티한국 김도현 기자] 세계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의 타겟이 된 우리나라는 더욱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수출액은 9개월 연속 내리막이다.

정부가 이같은 대외요인에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수출시장 구조를 만들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열린 '제23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수출시장구조 혁신 방안'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고성장・고위험'의 수출구조를 '고성장・저위험'의 수출구조로 전환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수출 포트폴리오를 개선, 2022년까지 전략시장 30%, 신흥시장 15%, 주력시장 45%로 수출 비중을 분산시켜 리스크를 줄인다는 목표다.

2018년 현재 수출 비중은 미국과 중국, 일본, EU 등 주력시장이 53.4%를 차지하는데 비해 신(新)남·북방 국가들이 포함된 전략시장은 21%, 중남미와 중동, 아프리카 국가들로 이뤄진 신흥시장은 9%에 그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략시장에서 한류를 활용한 수출마케팅을 강화하고 신흥시장에서는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수출 확대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주력시장에서도 수출품목을 다각화·고급화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출을 유지한다는 복안이다.

주목되는 부분은 이 과정에 '화장품'이 핵심품목으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우선 동남아시아 등 신남방 국가들을 대상으로는 화장품을 비롯한 5대 유망 소비재를 대상으로 수출보험 우대를 확대하고 수출마케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화장품의 경우 올 하반기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 정부 주도의 홍보판매장 혹은 홍보팝업부스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 국가에는 유통망, 프랜차이즈, 전자상거래, 홈쇼핑 등 플랫폼 기업 등도 함께 진출하도록 지원, 시너지를 꾀할 방침이다.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신북방 국가를 타겟으로 한 수출 확대 전략에도 화장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국가에서도 화장품 등 소비재와 농업 기자재들이 수출 유망품목인 만큼, 국가별·지역별로 유력 온․오프라인 유통망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수출 확대 마케팅 활동을 펼치겠다는 것이다.

신흥시장 공략 또한 지역 특성을 반영, 수출품목을 소비재 중심으로 다양화하는 게 최우선 과제다, 특히 세계 화장품 시장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중남미를 겨냥, 한류 연예인 모델과 한류 드라마 PPL, K-pop 아이돌 메이크업을 따라하는 SNS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한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수출 고도화가 추진되는 주력시장에서도 역시 화장품의 역할이 막중하다. 중국에서는 생활용품, 뷰티·헬스, 패션, 식품 등 소비재를 수출 핵심품목으로 발굴하고 지방경제 협력채널을 가동해 2·3선 도시를 집중 공략하기로 했다.

10와 20대를 중심으로 한류가 확산되면서 'K-뷰티' 'K-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일본에서는 라쿠텐, 아마존재팬 등 현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이들 품목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EU를 대상으론 정부 간 협의를 통해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데 집중하고 'K-뷰티' 전시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번 방안을 바탕으로 한국이 세계 공급망에 단순히 편승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공급망 재편에 선제 대응하고 새로운 공급망을 주도할 수 있도록 산업·기술·통상·투자 정책을 종합적으로 연계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