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를 위한 탈주의 언어로 자타공인의 아름다운 삶을 사는 당신이 유빕이다.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면 맹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진리(眞理)에 도달하기 위하여 표상 즉 현상을 분석하고 검열한다.

데카르트 이후 의식 세계에서는 의식의 주체로서 우리의 보는 것, 즉 '시선'(eye)이 전부인 양 간주되어 왔다.

라캉은 이것을 뒤집는다. 라캉에 있어 눈은, '그것'(무의식)으로 가는 길을 방해하는 동시에 의식의 이면에 있는 그것으로 향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에 중요하다.

이는 시선이 전부가 아닐 뿐더러 정작 사유하는 것은 의식이 아닌 무의식이기 때문이다. 이제 정신분석의 절대적 탐사 대상은 무의식, 그 중에서도 욕망의 원인인 충동(Drive)이 된다.

생(生)의 전반기에 상징계(언어)를 구축하는데 온 힘을 다쏟은 라캉은 후반기에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실재계(대상)에 집중한다. 연구의 변곡점을 맞이함으로써 그 초점이 욕망에서 충동으로 옮겨간 것이다. 라캉도 자신을 실재론자로 즐겨 불렀다.

예컨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 '모든 것이 성(性)충동이다'라고 할 때, 핵심은 섹스가 아닌, 그 이전의 충동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는 오르가즘(생물학적 쾌락)이 아닌 주이상스(정신분석적 충동의 쾌락)를 의미한다. 후기 라캉식으로 표현하면, 주이상스란 쾌락원칙의 한계선을 넘는 고통감내를 통해 얻어지는 쾌락으로 도달 불가능한 욕망의 지향점이다.

이처럼 충동이란 그것이 결코 충족될 수 없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욕구와 구별되면서 현실의 만족을 뛰어넘은 부재의 대상을 향한 운동이므로 쾌락의 참된 원천은 무의식적 3계(상상계ㆍ상징계ㆍ실재계)에서 산출되는 충동과 욕망의 폐쇄회로(-φ, φ, 주이상스)를 반복해서 운동하는 것이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상징계에 저항하면서도 끊임없이 효과를 드러내는 실재계와 대상 a(기표너머의 유령이자 충동에 대응하는 부재의 대상)가 부각되면서 시선의 대립항인 '응시'(gaze)가 키워드로 등장한다.

 

▲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 1968) 프랑스 화가이며 다다이즘의 중심적 인물. 자크 비용과 뒤샹 비용의 동생으로 인상주의, 포비즘, 큐비즘의 영향을 받은 기계와 육체가 결합한 듯한 작품을 그려 대부분의 회화를 파기하였다. 변기를 작품화한 ‘샘’과 같은 기성품을 활용한 '레디 메이드' 오브제를 제시했다.(미술대사전(인명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 1968) 프랑스 화가이며 다다이즘의 중심적 인물. 자크 비용과 뒤샹 비용의 동생으로 인상주의, 포비즘, 큐비즘의 영향을 받은 기계와 육체가 결합한 듯한 작품을 그려 대부분의 회화를 파기하였다. 변기를 작품화한 ‘샘’과 같은 기성품을 활용한 '레디 메이드' 오브제를 제시했다.(미술대사전(인명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 시관충동 : 응시된 주체

 

라캉은 응시가 시선의 기원이라고 못 박는다. 우리는 왜 보는가. 한마디로, 대상 a로서의 응시로부터 탈주하기 위해서다. 응시는 그만큼 두려운 것으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그가 발명한 '시관충동'이란 우리 자신이 응시에 의해 보는 주체가 아니라, 보여짐을 당하는 주체임을 의미한다.

즉 눈이라는 기관을 통해 무의식의 영역으로 시관충동이 발현되며 그 분열의 장에서 우리는 욕망의 무의식적 주체를 만나는 것이다.

눈의 조리개는 빛을 차단하는 스크린 기능을 하기에 스크린 혹은 차단막 없이 이미지를 볼 수 없다. 역설적이게도, 시선으로 본다는 것은 차단하는 것과 연결된다는 사실이다.

대타자라는 거울(상징계)에서 인간 역시 빈 상태로 남겨진 이미지로서의 응시된 주체이며, 이때 주체는 거울반사 이미지 너머에서 작동하는 대상 a의 응시와의 관계로 위상이 정해진다. 왜냐하면 대상 a의 응시는 거울반사가 될 수 없는 결여의 잔여물이며, 상상계ㆍ상징계ㆍ실재계 사이의 경계에 있는 공백, 즉 부재(無)이기 때문이다.

고로 무의식의 응시된 주체는 확실하고 통일된 것이 아니라, 분열되고 불확실한 것이다. 인간은 존재하는 한, 각자의 트라우마와의 만남인 욕망의 응시를 반복 순환한다.

응시가 가장 포착 불가능하고 오해되기 쉬운 이유는 정신분석에서 암점으로 규정되어온 눈이 무의식의 응시를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응시는 이미지나 질서의 공백(결여)이 있어야 출현한다. 예컨대 어두움은 이미지의 공백 상태이다. 고로 눈을 감거나 어두움 속에서 응시가 나타난다. 응시는 사방팔방으로 편재하기에 어떤 충동보다 강력하고 위협적인 불안이다. 예컨대 훔쳐볼 때, 우리는 보는 주체가 아니라 객체임을 느낀다.

요컨대 무의식에서는 응시가 핵심이다. 눈 앞의 타자를 넘어 '사회가 자기를 어떻게 볼지'에 대한 실재계의 응시의 방어기제로써, 튀지 않으려고, 인간은 남들과 비슷하게 먹고 입고 행동하며 적응한다. 이것이 곧 구멍난 상징계에서 "이 남자(여자)가 사는 법"이다.

라캉적 관점에서 이 세계의 진화는 응시와 탈주의 위력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들이다. 즉 합리적 사고나 과학기술에 의한 문명발전 혹은 DNA의 이기적 자기보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오로지 충동(예: 4대 감각기관에 따른 구강ㆍ항문ㆍ귀ㆍ눈 관련 충동)에 대한 인간적 자기방어를 하기 위한 상징계의 총체적 '산물'(법률 지식 과학 문화 종교 문명 등)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 마르셀 뒤샹에 의해 레디메이드 작품 논쟁의 촉발점이 된 소변기 <샘(1917)>. 기성품이 환경이나 장소가 옮겨지면 본래의 목적성이 상실된다는 점에서 뒤샹은 이를 예술로 표현하고자 했다. 미술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평가되면서 기존 예술의 표현과 가치를 부정하는 도전적인 행보로 뒤샹은 <다다이즘>의 중심에 서게 된다.
▲ 마르셀 뒤샹에 의해 레디메이드 작품 논쟁의 촉발점이 된 소변기 <샘(1917)>. 기성품이 환경이나 장소가 옮겨지면 본래의 목적성이 상실된다는 점에서 뒤샹은 이를 예술로 표현하고자 했다. 미술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평가되면서 기존 예술의 표현과 가치를 부정하는 도전적인 행보로 뒤샹은 <다다이즘>의 중심에 서게 된다.

 

◇ 마르셀 뒤샹 : '시선에서 응시로'

 

뒤샹은 자신의 작품이 응시당하는 주체임을 일관성있게 보여준다. 이는 전통적으로 미술계가 구축해온 타자의 질서인 시선을 빠져나가는 것(탈주)을 목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소변기 <샘(1917)>이라는 레디메이드 작품이 그 촉발점이다. 여기서는 창작물이냐 기성품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것이 일상의 사물인지, 고가의 가격표가 붙은 작품인지 "모호하게" 함으로써, 즉 작품과 관객의 경계를 허물고 작품이 관객 안으로 들어옴으로써, 양자가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핵심이다.

시선이 아닌 응시의 측면에서, 관객인 우리도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뒤샹은 미술사전체를 뒤집는 혁명을 가져온 것이다.

요컨대 상징계(현실)의 체계나 담론 혹은 현재의 지배 시각에서 추론되는 것이 진리가 아니라, 현 체계가 붕괴된 무(無)의 자리(공백 혹은 응시받는 자리)에서 새롭게 발명되는 것이 진리(眞理)다. 즉 전혀 알지도 못하는 외계어가 아니라, 현 지배 시각을 타격할 수 있는 것이 진정으로 새로운 것이다.

미학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선명한 것은 외려, 바벨의 질서이자 상징계의 지배에 속한 것이기에 현대미술은, <무진기행>의 안개처럼, 모호함을 통하여 저항하며 끊임없이 탈주를 시도한다.

응시된 주체로서, 진리를 위한 탈주의 언어로 자타공인의 아름다운 삶을 사는 당신이 유빕이다.

 

▲ 필자 한병현 : 서울대 약학대학 및 동 대학원 졸. 미국 아이오와대 사회약학 박사. 前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사업단장. 前아시아약학연맹(FAPA) 사회약학분과위원장. 前사회약학연구회 회장. 前대통령자문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위원. 국제학술지 ‘AIMS Medical Science’ 前객원편집장. 現유빕공동체 대표. 現압구정 예주약국 대표. 現BOC(방앤옥컨설팅) 감사.
▲ 필자 한병현 : 서울대 약학대학 및 동 대학원 졸. 미국 아이오와대 사회약학 박사. 前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사업단장. 前아시아약학연맹(FAPA) 사회약학분과위원장. 前사회약학연구회 회장. 前대통령자문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위원. 국제학술지 ‘AIMS Medical Science’ 前객원편집장. 現유빕공동체 대표. 現압구정 예주약국 대표. 現BOC(방앤옥컨설팅) 감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