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 어려움에 ‘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 고위험시설 지정까지 이중고

[뷰티한국 최지흥 기자]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화장품 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유통들이 최악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한류 열풍과 함께 승승장구 하던 국내 백화점과 면세점 등 이른바 럭셔리 유통은 물론 2000년대 한국 시장을 주름 잡았던 로드숍들도 잇달아 문을 닫거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새로운 대안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온라인 유통은 그나마 비대면 구매 확산으로 매출이 오르고 있지만 이마저도 화장품 재고 할인 경쟁으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80년대 대한민국 화장품 시장을 주도해 온 인적판매(방문판매, 후원방문판매, 다단계) 유통은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을 만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체적으로 화장품 구매가 급감하면서 매출이 감소된데 이어 불법다단계 기업을 통한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으로 ‘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이 고위험시설로 지정돼 영업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해당 지정은 지난 6월부터 시작되어 최근 1단계로 조정되면서 2단계 하에서 집합금지 되었던 11개 고위험시설들이 모두 풀렸지만 그중 ‘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만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생계형 인적판매 사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화장품 방문판매 업계에 따르면 방문판매원들의 월 평균 소득은 150만원~200만원 수준이며, 종사자 대부분이 중년 여성들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생계형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최근 방문판매, 후원방문판매, 다단계 사업자들을 특고(특수형태근로종사로)로 지정하여 산재보험 대상으로 추가하였고, 여기에 고용보험도 적용하려고 추진 중이지만 이 역시 만만치 않다.

기업과 종사자 모두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최근 인적판매 업계가 전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이를 실제 현장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단 업계는 인적판매에 대한 고위험군 지정을 풀어 주길 희망하고 있다. 문제가 된 업체들은 불법 다단계나 유사수신행위업체, 불법 암호화페 취급 업체들로 건전하게 사업을 전개하는 인적판매 업체들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또한 이미 고위험시설로 지정되어 있던 클럽 등 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등 유흥시설들이 모두 관련 지정에서 벗어나 정상 영업을 하고 있는 만큼 인적판매 역시 안전한 규정 속에서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른 업종처럼 QR코드 전자 명부 작성 후 마스크 착용하고 사회적 거리두리를 유지하는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게 하고 제한적으로라도 집합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이야기다.

모두가 어렵다. 그리고 모두가 힘을 합쳐야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소외되는 이들이나 불공평한 일을 당해서는 안 된다.

최근 인적판매업종은 영업정지에 준하는 거의 휴업 상태나 다름없다. 이들은 지금 소외되어 있다. 다양한 방법의 소상공인들을 위한 구제 방법들이 계속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여기에 없다. 이제 이들을 위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방역대책에 있어 소외되고 억울하게 희생되는 경우가 없도록 형평성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오늘이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세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