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기사와 무관한 사진입니다.
▲ 해당 기사와 무관한 사진입니다.

향수의 개별소비세 폐지 혜택이 소비자에게 온전히 돌아가기 힘들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수입향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인데, 이 수입제품의 경우 글로벌 본사가 소비자가격을 컨트롤 하는 상황으로 국내 사정을 반영한 가격 조정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개별소비세는 특정 소비에 대해 세율을 선별적으로 부과하는 소비세를 일컫는다. 사치성 물품의 소비를 억제하고 재정수입의 확대를 꾀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일명 '사치세'라고도 불린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본회의를 열고 향수를 포함해 녹용, 카메라 등에 대한 개별소비세 폐지 내용을 담은 개별소비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향수는 종래 붙었던 7%(탄력세율 4.9%) 세율의 개별소비세가 사라지게 됐다. 

하지만 개별소비세 폐지로 인한 소비자가 인하 조치에 대해 대다수 향수사는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국내 대표 향수유통사들에 문의한 결과 "논의중" "검토중"이라는 답변이 돌아왔으나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이 많았다. 책임의 주체는 역시나 글로벌 본사다.

가격 인하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씨이오인터내셔날 관계자는 "본사에서 소비자가격을 책정한다. 지정된 금액이 있어 국내(유통)사가 조정하는 것은 힘들다"고 말했다. 

현재 논의 중이라는 하이코스 측은 "개별소비세 페지로 인한 원가 감소 요인과 함께 브랜드 본사 차원의 정기적인 가격 인상 계획 및 최근 환율 상승 등으로 인상요인이 공존하고 이어서 아직 가격 조정 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다만 "가급적 가격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가격인하를 고려하고 있다"는 말로 소비자 혜택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본사의 '갑질'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향수유통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지난 몇년간 국내 유통사 간의 브랜드 유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본사의 공급가도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 상황"이라며 "국내 유통사에 가격을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해도 개별소비세 폐지 혜택을 당장 적용하기 보다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되 향후 (공급가 인상에 따른)가격인상을 자제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해 11월 정부는 개별소비세를 낮춰 명품가격 인하와 소비를 촉진하겠다던 정책이 명품 업체들의 배만 불리는 결과를 낳자 3개월만에 개별소비세를 다시 되돌린 바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뷰티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